PDP Context
PDP Context 란 단말과 네트워크사이에 패킷 데이타를 서로 송수신할수 있도록 연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결에 사용되는 정보를 PDP Context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들로 이루어져 있다.
- PDP Type
- PDP address typeCreateFont
- QoS profile request (QoS parameters requested by user)
- QoS profile negotiated (QoS parameters negotiated by network)
- Authentication type (PAP or CHAP)
- DNS type (Dynamic DNS or Static DNS)
위와 같은 파라미터를 통하여 단말은 IP 를 할당받게 되고 서비스에 따른 QoS를 설정할 수 있다.
Multiple PDP Contexts in UMTS
단말이 발전함에 따라 서로 다른 PS Call 을 통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동시에 실행되어야 하는 이런 PS Data Call 은 서로다른 QoS 를 가지고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로 다른 PDN 에 접속할수도 있다.
Multiple PDP contexts 는 3G망에서 IMS 가 도입되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위의;ㅣ 그림에서 보는것과 같이 특정 PDP Context 의 Data Flow 는 MT에서 끝날수도 있고 TE에서 끝날수도 있다. 예를 들면 VoIP Call 을 단말에서 하면서 노트북으로는 웹브라우징을 하는 경우가 있을수가 있다.
PDP Context 란?
외부 Packet Data Network 로의 연결을 위한 여러가지 종류 정보의 집합 이라고 할수 있다. 이는 PDP type(IP,PPP), PDP address (static, dynamic), APN, QoS 등등을 일컷는다.
PDP address는 GGSN 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PPDN(Public Packet data network) 에서 오는 모든 Packet Data들은 PDP address를 통하여 GGSN으로 들어간다. 정적으로 할당된 PDP address는 가입자의 Home network 영역에서 GGSN으로 할당된다. 동적인 경우는 가입자의 Home network 일수도 있고 Visiting network 의 address 일수도 있다.
단말이 SGSN에 attach 되어 있는 상태에서 data 전송을 시작할려면 PDP activation 을 시작해야 한다. PDP activation 이라는 것은 결국 SGSN 과 GGSN 간의 연결을 하는것이다. 이때 SGSN 과 GGSN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 정보를 PDP Context 라고 한다. 따라서 단말이 SGSN 에 attach 하는것과 PDP address 를 activatig 하는것은 의미가 다르다. 단말은 항상 한개의 SGSN 에만 attach 할수 있고 PDP address 는 동시에 여러개가 ativating 이 될수도 있다. 각각의 address 는 서로 다른 GGSN 과 연결될수 있다. 만일 PPDN 으로부터 특정 PDP address 로 할당된 GGSN으로 packet 들이 들어 왔을때 GGSN 이 그 address로 active 된 PDP context 가 없다면 packet들은 버려진다.
'Protocol > WCD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CH Procedure (0) | 2013.09.25 |
---|---|
PLMN (0) | 2013.09.25 |
MAC - Medium Access Control (0) | 2013.09.25 |
Initial UE Radio Access (0) | 2013.09.25 |
Handover (0) | 2013.09.25 |